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7월 15일(2025년)부터 유효한 유튜브 파트너 프로그램(YPP)의 '비진정성(inauthentic) 콘텐츠' 정책이 강화

by 새싹이의 일상 2025. 7. 13.
반응형

7월 15일(2025년)부터 유효한 유튜브 파트너 프로그램(YPP)의 '비진정성(inauthentic) 콘텐츠' 정책이 강화됩니다. 이는 기존 '반복 제작(repetitious)' 정책의 용어를 개정하고, 적용 기준을 명확히 한다는 의도입니다 +1


🎯 핵심 변화 요약

1. 대량 제작·반복 콘텐츠, AI 슬롭(AI slop) 타깃

  • AI 기반 자동 생성 콘텐츠, 슬라이드 쇼, 반복 패턴 영상 등은 수익화 제외 대상이 됩니다
  • “AI 음성 더빙만 입힌 영상”이나 “클립 재구성 후 최소 편집” 콘텐츠는 특히 위험합니다 .

2. 정책 자체의 변화는 적고, 집행 기준이 강화

  • 유튜브 측은 이번 조치가 기존 정책을 강화·명확화한 것이라고 설명합니다. 반응형 콘텐츠(reaction)나 클립 활용은 여전히 허용되지만, **'의미 있는 가치 추가'**가 필수입니다 .

3. 준수 조건은 그대로

  • 1,000명 구독 + 4,000 시간 시청 또는 9,000만 Shorts 조회수 요건은 변경 없습니다 

🔍 창작자 대응 가이드

전략설명
진짜 '사람 제작' 콘텐츠 만들기 내레이션, 해설, 얼굴·개인성 강조
AI 도구는 보조 수단으로만 스크립트 작성과 편집에만 사용. 완성품은 반드시 사람 손 거쳐야
편집과 스토리텔링 강화 시각적 변화+구조적 흐름+내러티브 중심
기존 콘텐츠 점검 7월 15일 전후 비진정성 콘텐츠는 삭제 또는 재편집
 

📌 향후 수익화 방향

  • AI 도구 활용 허용: 보조적 용도로 AI 사용은 가능하나, 인간 창작자 직접 참여 기반의 콘텐츠만 수익화 가능 
  • 컨텐츠 질 우선: 반복 없는 스토리, 고품질 영상 중심 콘텐츠가 유리합니다.
  • 정책 모니터링 필수: 유튜브는 앞으로도 “자동화 + 펜심한 명확성” 중심의 시행을 이어갈 예정입니다.

✨ 결론

7월 15일부터는 **‘진짜 사람의 손이 닿은 창작과 진심’**이 수익화의 핵심입니다. 자동화, AI만으로 콘텐츠를 양산하던 채널은 전환이 불가피하며, 창작의 본질과 가치를 강화하는 전략이 성공의 디딤돌이 될 것입니다.

 

만약 도시농업, 환경교육, 진로창업 등 본인의 교육 콘텐츠를 유튜브로 제작·수익화하고자 한다면, 이 정책은 오히려 기회입니다. 진정성과 전문성을 살려 콘텐츠를 구성한다면 더욱 유리한 입지를 확보할 수 있습니다.

반응형